MY MENU

한지란?

제목

한지의 변천사

작성자
신풍한지
작성일
2013.02.18
첨부파일0
추천수
1
조회수
1758
내용

삼국시대

 

 

 

  삼국시대는 우리나라 한지의 태동기이다.  종이의 제조법은 중국의 것을 상당히 모방했지만, 중국의 종이 제지법은 섬유를 잘게 갈아서 마늘었으나 한지는 닥섬유를 두드려 만들었다.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는 비교적 날씨가 추운 고구려는 닥을 재배하기가 어렵지만 남쪽은 닥을 재배하기가 적절했다.  때문에 고구려는 백제나 신라로부터 닥을 공급받았을 것이라고 추측을 할 수 가 있다.  일본에 제지기법을 전한 사람은 고구려 담징으로 고구려 영양왕 때이다.  이것은 7세기경 이미 우리나라는 한지가 발달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고려시대

 

 

 

  고려시대는 우리의 종이가 활발하게 발전한 시기이다.  불교가 성행한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으로 불경을 전하는데 종이의 사용이 급격히 많아져서 여러 겹을 붙인 종이가 늘어나습니다.   국가적으로 닥나무를 재배하기를  장려하였으며 염색을 한 가공지도 많았다.  한지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두껍고 광택 있는 종이를 선호했으며 국가적으로는 닥나무를 공급하기 위하여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지리적 조건이 좋은 지방에 지소가 설치되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갖가지 원료를 사용하는 툭색있는 종이를 만들어졌다.  고려의 한지는 질기고 광택이 있으며 염색을 한 가공지도 많았다.  중국에서는 고려의 한지를 고려 백추지라고 불렀는데 이는 표백을 잘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려말기에는 국운의 쇠퇴로 종이 발달도 멈추었고 닥나무 재배도 많지 않았다.

 

 

 

 

 

 

 

조선전기

 

 

 

  조선전기는 제지기술이 완성기 단계라 할 수 있다.  원료와 기술이 다양화되고 종이의 용도가 대중화 되었다.  원료와 기술이 다양해서 생활용품에 종이를 활용하였다.  원료의 다양화로 종이의 원료인 닥나무뿐만 아니라 여러 식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생활용품에 종이가 응용되고 이용하는 백성의 계층도  다양화된 시기였다.  한지의 사용 용도가 많아 전국적으로 생산되기도 했다.  국가에서  직접 운영하는 국영 조지서가 설치되어 제지공업 발전에 많은 노력을 하였다.  한지의 품질은 광택이 있고 질기며 두깨가 얇아 최고의 품질을 자랑했다.

 

 

 

 

 

 

 

조선후기

 

 

 

  제지기술의 쇠퇴기라 할 수 있다.  생활용품으로 한지이 주원료인 닥나무 수요가 많아지자 갈대나 볏짚 등으로 섞어서 만든 품질이 떨어진 한지가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품질이 저하되고 제조기술이 떨어지면서 한지를 이용하 응용기술도 거의 없었다.  특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조지서는 감당하기 어랜ぃ?고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던 원료도 중단되었다.  임진왜란고 병자호란의 연이은 환란은 국가 재정을 마비시켰고 제지기술은 더이상 전통을 잊지 못했다.  그러나 특수 고급용지는 성행되었으며 종이에 무늬를 넣거나 염색을 하여 세련된 영향도 있었다.  수공업의 한계성으로 중국과 일본의 제지기술ㅇㄹ 받아들여 종이가 수입, 유통되었다. 

 

  중국과 일본이 제지기술로 종이가 대량 수입되면서 국내의 한지는 거의 하락하고 창호지 등으로 명맥을 이어갔다.  중국과 일본의 제지공장이 서립되면서 한지는 완전히 사양길에 들어섰으며 표백에 화공약품이 천연원료로 대체 되어 한지 본래의 특성을 잃게 되었다.  종이의 주원료인 닥나무 대신에 뽕나무나 꾸지나무 등으로 주원료가 바뀌고 점ㅈ도 대부분 바뀌었다.  한지의 공정이 까다롭고 닥나무의 생산부족, 생산량이 적고 곡여서 한지를 생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기계로 생산되는 종이가 서서히 대중의 속으로 파고들어 갔고 한지는 시간이 지날수록 사람들의 손에서 멀어져 갔다.

 

 

 

 

 

 

 

일제 해방 후

 

 

 

  일제 해방 후 지금까지는 한지공업의 붕괴 과정이다.  한국전쟁 이후 한지 생산은 거의 사라졌다.  군사독재 시절에 빠른 경제 발전 속도와 문화적 한경이 바뀌면서 한지를 이용하는 것은 보기 드문 현상이었다.  수요가 한정적이어서 도시보다는 농촌에서 문에 붙이는 창호지나 장판지정도 사용하였다.  현재, 한지 생산은 인력확보가 힘들고 후계자를 양성하지 못하여 거의 대가 끊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1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